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강아지가 쩝쩝거리거나 입맛을 다신다면 4가지 이유를 의심해봐야한다?

by antoine_michael 2023. 1. 17.

반려견이 이유 없이 쩝쩝거리거나 입맛을 다신다면?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보호자는 약 700만 명이라고 한다. 이전 1500만 명의 조사 결과는 다소 부정확하거나 부풀려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고 한다.

주민등록기준일 2022년 12월 기준 대한민국 총인구수가 51,439,038명이다. 5144만명 중에 700만 반려인! 결고 적은 수치가 아닌걸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만큼 우리의 삶에 반려동물들은 아주 깊게 들어와 자리 잡고 같이 살아가고 있다는 걸 볼 수 있다. 많은 반려동물들 중 반려견에 대해 다뤄볼까 한다.

일상생활 중 반려견들이 입맛을 다시거나 쩝쩝 거리는 것을 목격했거나 혹은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에 대해 궁금증을 가진 적이 있을 것이다.

강아지가 입맛을 다시는 이유.

1. 기분이 좋을때 - 어미의 보살핌을 받던 강아지시절, 강아지의 애교는 어미강아지가 핥아주면 같이 핥아주는 행동을 하는데거기서 나온 행동이 어른강아지 즉, 성견이 되서까지도 이어져 가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보호자가 부드럽게 쓰다듬어 줄때 마치 어미강아지가 핥아주는 것과 비슷한 느낌을 받아 심리적인 안정감을 느끼는 강아지들이 쩝쩝 거리는 경우가 많다.

2. 배고픔 - 반려견이 보호자의 눈을 쳐다보면서 입맛을 다시거나 쩝쩝 거린다면 배가 고파서 그럴 수 있다. 사료를 주는 텀이 길거나 사료의 양이 너무 적은 건 아닌지 체크해볼 필요가 있다.

3. 속이 좋지 않을 때 - 기분이 좋을 때와 정반대로 속이 불편하거나, 구토 할것 같을때 또한 쩝쩝거리거나 입맛을 다신다.
기분이 좋을때와 차이점이 있다면 쩝쩝 거리거나 입맛을 다시는 것과 동시에 침을 계속 흘린다던지 입술을 지속적으로 핥는다.
반려견이 속이 좋지 않는다는 시그널을 계속적으로 보인다면 가까운 동물병원에 진찰을 받아보는 것을 추천한다.

4. 입안에 이물감이 있을 때 - 사람은 입안에 이물감이 있으면 양치를 하거나, 이쑤시개, 치실 등 스스로 제거를 할 수 있으나 반려견은 스스로 제거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쩝쩝 거리는 행위를 할 수 있다.

반려견이 쩝쩝거리면서 뭔가를 씹는 행동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면 재빨리 입안을 확인해 주어야 한다. 여기서 특히 많이 발견되는 것이 보호자의 머리카락이다. 사료그릇에 머리카락이 날려 들어갔거나 바닥에 떨어진 머리카락이 장난감에 붙었거나 여러 가지 등의 이유로 반려견의 입속으로 들어가는 일이 다반사다.

반려견의 사료량이 적절한가?

사료의 양은 반려견의 활동정도, 중성화 여부, 나이 그리고 질병 등 여러 가지의 경우에 따라 급여양이 달라진다. 반려견 개월수에 맞춰서 사료봉지 뒤에 적힌 대로만 따라 한다면 적거나 많을 수가 있다.

또한 각각의 사료별로 들어있는 성분의 함량이 다르기 때문에 사료봉투에 기재된 권장양은 참고만 하되, 반려견들을 잘 관찰해 조절 급여 해야 한다.

사료의 양이 적절한가의 판단은 반려견의 변의 상태로 판단하면 되는데, 변의 상태가 묽거나 혹은 설사를 한다면 사료의 양이 많다고 생각하면 된다. 양을 줄였는데도 설사가 멈추지 않거나 변의 상태가 좋아지지 않는다면 해당사료에 대해 알레르기가 있거나 반려견의 장에 탈이난 것일 수도 있다.

처음사료를 구입할 때는 대량으로 구매를 하는 것보다 소량으로 구입하거나 샘플만 구입해서 먹여보고 기호성과 알레르기 테스트를 해본 뒤 대량으로 구입해서 급여하는 것을 추천한다.

마치며..

말을 못 하는 동물인 우리들의 반려견은 생각보다 우리에게 자기 마음을 알아 주라는 듯 많은 사인을 보내고 있다. 아이들이 보내는 싸인 모두를 알아채지는 못하더라도 오늘 이긁을 읽은 당신은 이제부터 우리 집 반려견의 싸인 하나는 알고 갈 수 있을 것이다. 기분 좋을 때, 배고플 때, 입안에 이물질, 속이 안 좋을 때 같은 쩝쩝이지만 미세하게 다르기 때문에 꼭 숙지하고 있기를 바란다.

사진 크기(cm),픽셀(px),인치(in) 무료로 바꾸는 방법

사진 픽셀(px), 인치(in), cm 조절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사진을 편집하는 데 있어서 사진과 이미지의 용량도 중요하지만 사진의 크기도 중요하다. 해당 사진이 필요한 곳에 맞는 크기가 아니면 곤

antoine-michael.co.kr


30대 손톱에 때도 안 보이는데 내가 노안? 근시, 원시, 노안 제대로 알기.

근시도 원시도 노안도 '분명히 보이지 않는다'라는 고민인 점은 공통적이지만 그 메커니즘은 각각 다릅니다. 근시와 원시와 노안의 차이점에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애초에 '흐리게 보이는' 이유

antoine-michael.co.kr

댓글